피아니스트 랑랑 (Lang Lang)


피아니스트 랑랑이 UIUC에 왔다.
그 학생은 강력한 10달러 어드밴티지를 등지고 공연장에서 랑랑을 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유명한 해외작가들이 한국에서 오면 1인당 3층 자리에 수만 원씩을 내야 하는데, 학생용으로 10달러라는 터무니없는 가격에 작가를 만날 수 있게 해줘서 그저 고마울 따름이었다.
무작위로 배정된 장소.

워낙 유명하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한국에는 뛰어난 피아니스트들이 많고 그들의 연주를 찾아 듣기에 바빠서 랑랑의 연주는 들어본 적이 없었다.
그래서 오히려 더 궁금했던 이번 콘서트에 대한 총평을 해보자면 “명성만으로 준비를 게을리 하지 말자”였다.
그가 가지고 온 프로그램이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이었기 때문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Aixm3Vha_CI&t=3681s

그는 이 공연 영상과 똑같은 프로그램을 틀었다.

사실 알고 보면 쇼팽 같은 작곡가들이 골드버그를 여러 번 거쳐가면서도 감정에만 호소하는 작품들에 비하면 이해하기 어려웠다.
그래서인지 공연장에서 많은 시청자들이 중간에 핸드폰을 보거나, 졸고 있는 등, 유명세를 기대하며 랑랑을 보러 왔지만 결국 제대로 즐기지 못하는 현상에 빠졌다.
바흐의 골드베르크가 음악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변주곡인 건 알지만, 내가 나와서 이렇게 독주 협주곡을 한다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좋아할지 모르겠다.
클래식을 많이 듣는 나에게도 어려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엄청난 집중력으로 콘서트를 지휘했고 모든 변주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변주 중에서 조용하게 끝나는 변주에 이어 빠른 템포의 변주가 이어지면 대비가 크며 마치 하이든의 서프라이즈 교향곡 2악장처럼 청중을 깨우는 듯한 느낌이 들었고, 큰 악장들이 흥겨움을 자아냈다.
눈 . 그런 노력이 없었다면 공연을 듣기가 더 힘들었을 것 같아요.


연주 중간에도 피아노의 G음이 음정이 맞지 않아 나머지 연주 내내 거슬리게 들렸다.
암튼 무사히 잘 마쳤고 다음에 볼 기회가 있다면 좀 더 여유로운 프로그램으로 보고 싶네요.